(앵커)
전국적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3.1절인 오늘(1일) 제주에서도 도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을 중심으로 평화의 목소리가 울려퍼졌습니다.
김연선 기잡니다.
(리포트)
제주에서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26살 카테르나 씨.
매순간 뉴스를 찾아보면서 고향인 우크라이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틈틈이 고향에 있는 가족, 친구와 연락을 주고받으면서 안부도 묻고 있습니다.
다냐/우크라이나 키예프 거주
"3일 전부터 가게들이 문을 닫기 시작했고, (열려 있는 가게는) 줄이 길어서 음식과 물을 사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카테르나 씨는 자국민들이 다치고 고향이 황폐해져간다는 소식에 매일 밤 잠을 설칠 정도로 맘을 졸이고 있습니다.
라츤스카 카테르나/우크라이나 유학생
"지금 너무 걱정돼요. 마음이 너무 아파요. 계속 뉴스 보고 너무 걱정하고 있어요. 어머니께서 어떻게 지내는지, 어머니랑 매일 연락하고 울어요. 너무 슬퍼요."
세계 평화의섬 제주에서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카테르나 씨처럼 제주에 거주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인들을 중심으로 20여 명이 모였습니다.
김연선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며 제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과 제주도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평화시위를 벌였습니다."
제주도민들도 함께 '우크라이나 만세'를 외치면서 목소리에 힘을 보탰습니다.
박혜안/제주대학교 재학생
"모든 침략 행위에 대해서 반대하거든요. 그래서 같이 우크라이나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이번 시위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영상취재 강효섭
국내에서도 우크라이나 사태의 평화적인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많은 이들이 하루 빨리 우크라이나 땅에 평화가 찾아오길 간절히 소망하고 있습니다.
JIBS 김연선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연선(sovivid91@jibs.co.kr) 강효섭 (muggi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국적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3.1절인 오늘(1일) 제주에서도 도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을 중심으로 평화의 목소리가 울려퍼졌습니다.
김연선 기잡니다.
(리포트)
제주에서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26살 카테르나 씨.
매순간 뉴스를 찾아보면서 고향인 우크라이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틈틈이 고향에 있는 가족, 친구와 연락을 주고받으면서 안부도 묻고 있습니다.
다냐/우크라이나 키예프 거주
"3일 전부터 가게들이 문을 닫기 시작했고, (열려 있는 가게는) 줄이 길어서 음식과 물을 사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카테르나 씨는 자국민들이 다치고 고향이 황폐해져간다는 소식에 매일 밤 잠을 설칠 정도로 맘을 졸이고 있습니다.
라츤스카 카테르나/우크라이나 유학생
"지금 너무 걱정돼요. 마음이 너무 아파요. 계속 뉴스 보고 너무 걱정하고 있어요. 어머니께서 어떻게 지내는지, 어머니랑 매일 연락하고 울어요. 너무 슬퍼요."
세계 평화의섬 제주에서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카테르나 씨처럼 제주에 거주하고 있는 우크라이나인들을 중심으로 20여 명이 모였습니다.
김연선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며 제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과 제주도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평화시위를 벌였습니다."
제주도민들도 함께 '우크라이나 만세'를 외치면서 목소리에 힘을 보탰습니다.
박혜안/제주대학교 재학생
"모든 침략 행위에 대해서 반대하거든요. 그래서 같이 우크라이나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이번 시위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영상취재 강효섭
국내에서도 우크라이나 사태의 평화적인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많은 이들이 하루 빨리 우크라이나 땅에 평화가 찾아오길 간절히 소망하고 있습니다.
JIBS 김연선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연선(sovivid91@jibs.co.kr) 강효섭 (muggi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