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건강주치의 시범 사업 시행...공공의료원 역할은?

뉴스 클립 VOD

2,000억 투입 제주대 '글로컬대학' 지정...과제는?

(앵커) 배움과 휴식을 결합한 런케이션을 대학 교육에 융합하는 등 혁신 정책을 제시한 제주대학교가 글로컬대학에 최종 지정됐습니다. 지방 소멸 위기 속에서 지역과 대학이 동반 성장하는 발판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정용기 기잡니다. (리포트) 올해 제주대학교에서 배움과 휴식을 결합한 런케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등은 1천여 명. 국내외 대학생, 연구진을 초청해 런케이션의 지도를 넓혀왔습니다. 이 런케이션이 대학교 혁신모델로써 새로운 이정표를 남기게 됐습니다.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할 정부 핵심 지원 사업으로 선정됐기 때문입니다. 정용기 기자 "5년간 교육부 예산만 천억 원이 투입되는 글로컬대학 프로젝트에 제주대가 삼수 끝에 최종 선정됐습니다." 글로컬대학은 혁신 정책으로 지역 성장을 추진하는 대학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제주대는 지난 2023년 첫 도전장을 내민 후 2년 연속 고배를 마셨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K-런케이션 기반 구축과 공간을 초월한 글로벌노마드대학 설립 등 4가지 혁신모델을 제시한 데다, 제주자치도와 글로컬대학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선 점을 높게 평가받아 제주에서는 유일하게 낙점됐습니다. 앞으로 제주대 등 비수도권 39개의 글로컬대학은 지역 성장을 위한 혁신모델 정책을 실행하게 됩니다. 특히 제주의 경우 추가 예산까지 더해져 총 2천억원 규모로, 우주산업, 도심항공교통 등 전략산업 전문인력 양성도 추진됩니다. 강태영 / 제주대학교 기획처장 "(글로컬대학을 통해) 특히 청년의 인재 유출 또는 청년의 취업 이런 부분이 좀 많이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할 구체적인 실행 계획과 함께, 국내외 교수, 연구진을 폭넓게 영입할 수 있는 비자 문제 해결, 네트워크 구축 등이 과제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JIBS 정용기입니다. 영상취재 고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