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당시 민간인 학살 책임자로 꼽히는 함병선 연대장의 공적비에 대한 JIBS 보도와 관련해 제주 4·3 단체가 이 공적비에 대한 후속 조치를 촉구했습니다.
도내외 50여 개 단체로 구성된 제주 4·3 기념사업위원회는 오늘(16일) 성명을 내고 함 연대장이 지난 1948년 12월부터 대규모 학살의 지휘 책임자였다며 추모 비석은 4.3 왜곡의 또 다른 증거라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객관적 사실을 명시한 4·3 안내판 설치는 수년째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제주자치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내외 50여 개 단체로 구성된 제주 4·3 기념사업위원회는 오늘(16일) 성명을 내고 함 연대장이 지난 1948년 12월부터 대규모 학살의 지휘 책임자였다며 추모 비석은 4.3 왜곡의 또 다른 증거라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객관적 사실을 명시한 4·3 안내판 설치는 수년째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제주자치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신동원 (dongwon@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