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범고래 무리 소식 보셨는데, 기후 변화에 따른 바다환경의 변화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번 리포트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지난 2019년 제주 해상에서 구강 종양과 부러진 턱으로 입이 닫히지 않는 남방큰돌고래 '턱이'가 처음 발견됐는데, 안타깝게도 이달 초 폐사했습니다.
턱이의 사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부검이 오늘(30) 진행됐습니다.
현재까지, 폐렴에 의한 패혈증으로 폐사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권민지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넓고 푸른 바다를 자유롭게 유영하는 남방큰돌고래들.
그런데 무리 가운데 입을 벌리고 있는 한 개체가 눈에 띕니다.
입 안에 큰 종양이 있는 데다 턱까지 부러져 입이 닫히지 않는 '턱이'입니다.
턱이가 제주 바다에서 처음 발견된 건 지난 2019년.
신체 구조상 먹이 사냥이 제한적이다 보니 크기가 작은 넙치를 먹으며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지난 2일 턱이가 중문 해상에서 폐사한 채 떠올랐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구강 종양과 힘겨운 사투를 벌이면서도 꿋꿋이 먹이 활동을 하며 살아온 턱이가 끝내 목숨을 잃은 겁니다.
오승목 / 다큐제주 감독
"대단히 강인한 생명을 가진 게 아니냐 그렇게 판단이 되고 죽음을 보니까 좀 먹먹해지는 느낌..."
그렇다면 턱이의 사인은 뭘까?
권민지 기자
"남방큰돌고래 턱이가 폐사한 채 발견된 지 4주 만에 폐사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부검이 진행됐습니다."
부검을 맡은 연구진은 턱이의 구강에 있는 종양과 좌측 폐에서 발견된 폐렴이 폐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김상화 /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저희가 오늘 부검을 통해서 보고 싶은 것은 종양성 병변의 종류, 그리고 병리학적인 병인, 그리고 이 개체의 직접적인 사인을 규명하는 것을 주 목표로 가지고 부검을 진행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턱이는 몸 길이 3미터가량인 성체지만 무게가 208kg 정도로, 정상 개체보다 100kg가량이나 적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폐렴이 확인된 좌측 폐의 경우 사실상 호흡 기능을 잃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김상화 /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종양이 전이됐을 가능성이 있고 종양이 전이되지 않았다고 하면 여러 가지 다른 원인에 의해서 폐렴이 있을 수 있는..."
연구진은 턱이처럼 종양성 병변을 가진 개체는 매우 드물다면서,
조직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사인이 규명되는 데는 한 달가량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JIBS 권민지입니다.
영상취재 박주혁
JIBS 제주방송 권민지 (kmj@jibs.co.kr) 박주혁(dopedof@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그런데 이번 리포트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지난 2019년 제주 해상에서 구강 종양과 부러진 턱으로 입이 닫히지 않는 남방큰돌고래 '턱이'가 처음 발견됐는데, 안타깝게도 이달 초 폐사했습니다.
턱이의 사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부검이 오늘(30) 진행됐습니다.
현재까지, 폐렴에 의한 패혈증으로 폐사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권민지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넓고 푸른 바다를 자유롭게 유영하는 남방큰돌고래들.
그런데 무리 가운데 입을 벌리고 있는 한 개체가 눈에 띕니다.
입 안에 큰 종양이 있는 데다 턱까지 부러져 입이 닫히지 않는 '턱이'입니다.
턱이가 제주 바다에서 처음 발견된 건 지난 2019년.
신체 구조상 먹이 사냥이 제한적이다 보니 크기가 작은 넙치를 먹으며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지난 2일 턱이가 중문 해상에서 폐사한 채 떠올랐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구강 종양과 힘겨운 사투를 벌이면서도 꿋꿋이 먹이 활동을 하며 살아온 턱이가 끝내 목숨을 잃은 겁니다.
오승목 / 다큐제주 감독
"대단히 강인한 생명을 가진 게 아니냐 그렇게 판단이 되고 죽음을 보니까 좀 먹먹해지는 느낌..."
그렇다면 턱이의 사인은 뭘까?
권민지 기자
"남방큰돌고래 턱이가 폐사한 채 발견된 지 4주 만에 폐사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부검이 진행됐습니다."
부검을 맡은 연구진은 턱이의 구강에 있는 종양과 좌측 폐에서 발견된 폐렴이 폐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예정입니다.
김상화 /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저희가 오늘 부검을 통해서 보고 싶은 것은 종양성 병변의 종류, 그리고 병리학적인 병인, 그리고 이 개체의 직접적인 사인을 규명하는 것을 주 목표로 가지고 부검을 진행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턱이는 몸 길이 3미터가량인 성체지만 무게가 208kg 정도로, 정상 개체보다 100kg가량이나 적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폐렴이 확인된 좌측 폐의 경우 사실상 호흡 기능을 잃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김상화 /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종양이 전이됐을 가능성이 있고 종양이 전이되지 않았다고 하면 여러 가지 다른 원인에 의해서 폐렴이 있을 수 있는..."
연구진은 턱이처럼 종양성 병변을 가진 개체는 매우 드물다면서,
조직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사인이 규명되는 데는 한 달가량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JIBS 권민지입니다.
영상취재 박주혁
JIBS 제주방송 권민지 (kmj@jibs.co.kr) 박주혁(dopedof@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