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바다에서 좀처럼 보기 드문 대형 고래가 포획됐습니다.
확인해봤더니 길이만 10미터에 무게는 7톤에 달하는 멸종위기종이자 해양보호생물인 참고래였습니다.
제주 해상에서 참고래가 포획된건 6년 만이라고 합니다.
정용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항구 바다에 거대한 검은 물체가 떠 있습니다.
잠수부가 들어가 밧줄을 감아 고정시킵니다.
폐사한 대형 고래입니다.
크레인을 이용해 서서히 이 고래를 육상으로 끌어 올립니다.
하지만 무게가 상당해 인양도 쉽지 않습니다.
보기 드문 광경에 어민들도 깜짝 놀랄 정도입니다.
이 고래는 오늘(16일) 새벽 3시쯤 한림항 북서쪽 35킬로미터 해상에서 42톤급 유자망 어선 그물에 걸린 채 발견됐습니다.
정용기 기자
"조업 중인 어선 그물에 잡힌 대형 고래입니다.
길이만 10미터에 달하는 고래가 혼획된 건 상당히 이례적입니다."
처음 발견 당시 유통이 가능한 밍크고래로 추정됐지만,
국립수산과학원 확인 결과, 이 고래는 해양보호생물 참고래로 확인됐습니다.
몸 길이는 10미터, 둘레는 4미터 가량되고, 무게는 7톤에 달하는데,
이번에 잡힌건 새끼 참고래로 파악됐습니다.
20미터 넘게 자라는 참고래는 먹이 활동과 번식을 위해 제주 해역이나 동해상을 지나는 과정에서 아주 드물게 목격됩니다.
이처럼 참고래 사체가 제주 해상에서 발견된 건 지난 2019년 12월 이후 6년만입니다.
이경리 /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연구사
"따뜻한 수역에서 번식을 하고 극지방으로 이동해서 먹이 활동을 하는데, 드문드문 한 마리씩 보이는 경우가 있어서 아마 지금은 따뜻한 곳으로 이동하는 시기가 아닌가..."
해양보호생물인 참고래는 국내에서 포획과 유통이 금지돼 있습니다.
해경은 이번에 잡힌 참고래에서 불법 포획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연구기관에서는 이 폐사체에 대한 부검 여부를 검토중입니다.
이 참고래 뿐만 아니라, 최근 제주 바다에서 범고래 등 다양한 고래들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보다 정밀한 서식 실태 조사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JIBS 정용기입니다.
영상취재 오일령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강명철(kangjsp@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확인해봤더니 길이만 10미터에 무게는 7톤에 달하는 멸종위기종이자 해양보호생물인 참고래였습니다.
제주 해상에서 참고래가 포획된건 6년 만이라고 합니다.
정용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항구 바다에 거대한 검은 물체가 떠 있습니다.
잠수부가 들어가 밧줄을 감아 고정시킵니다.
폐사한 대형 고래입니다.
크레인을 이용해 서서히 이 고래를 육상으로 끌어 올립니다.
하지만 무게가 상당해 인양도 쉽지 않습니다.
보기 드문 광경에 어민들도 깜짝 놀랄 정도입니다.
이 고래는 오늘(16일) 새벽 3시쯤 한림항 북서쪽 35킬로미터 해상에서 42톤급 유자망 어선 그물에 걸린 채 발견됐습니다.
정용기 기자
"조업 중인 어선 그물에 잡힌 대형 고래입니다.
길이만 10미터에 달하는 고래가 혼획된 건 상당히 이례적입니다."
처음 발견 당시 유통이 가능한 밍크고래로 추정됐지만,
국립수산과학원 확인 결과, 이 고래는 해양보호생물 참고래로 확인됐습니다.
몸 길이는 10미터, 둘레는 4미터 가량되고, 무게는 7톤에 달하는데,
이번에 잡힌건 새끼 참고래로 파악됐습니다.
20미터 넘게 자라는 참고래는 먹이 활동과 번식을 위해 제주 해역이나 동해상을 지나는 과정에서 아주 드물게 목격됩니다.
이처럼 참고래 사체가 제주 해상에서 발견된 건 지난 2019년 12월 이후 6년만입니다.
이경리 /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연구사
"따뜻한 수역에서 번식을 하고 극지방으로 이동해서 먹이 활동을 하는데, 드문드문 한 마리씩 보이는 경우가 있어서 아마 지금은 따뜻한 곳으로 이동하는 시기가 아닌가..."
해양보호생물인 참고래는 국내에서 포획과 유통이 금지돼 있습니다.
해경은 이번에 잡힌 참고래에서 불법 포획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연구기관에서는 이 폐사체에 대한 부검 여부를 검토중입니다.
이 참고래 뿐만 아니라, 최근 제주 바다에서 범고래 등 다양한 고래들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보다 정밀한 서식 실태 조사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JIBS 정용기입니다.
영상취재 오일령
JIBS 제주방송 정용기 (brave@jibs.co.kr) 강명철(kangjsp@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