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경영평가에서 낙제점인 D등급을 받았던 JDC가 잇따라 비상 경영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15개로 제한된 면세점 판매 품목을 늘리고, 면세점 근무자에 대한 복지 혜택도 축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지 혜택 축소 대책에 불만의 목소리가 적잖게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비상경영체제를 벗어나기 위해선 현재 공석인 이사장 선임이 필요한데, 이사장 공모 절차는 현재 중단된 상탭니다.
강석창 기잡니다.
(리포트)
지역 소상공인들이 조세특례 제한법 개정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 법이 개정되면,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JDC 면세점 판매 품목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JDC 면세점이 저가 공세로 소상공인 판매 품목들을 팔게 되면 지역 상권이 무너진다고 주장했습니다.
박인철 제주자치도 소상공인연합회장
"지역 상권을 초토화하고 제주 경제의 미래를 파괴할 이번 개정안의 추진을 결사 반대하며, 즉각적인 중지를 강력히 촉구한다"
현재 JDC면세점 판매 품목은 15개로 제한돼 있지만, 관세법 적용을 받도록 법이 개정되면 품목 제한이 없어집니다.
JDC는 법이 개정돼도 소상공인과 겹치는 생필품을 팔진 않을 것이고, 기능성 식품같은 선물용을 판매하는 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8백달러인 구매한도는 그대로 유지돼, 큰 영향이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처럼 JDC가 소상공인들의 반발 속에도 판매 품목을 늘리려는 건, 면세점 매출 급격히 줄었기 때문입니다.
지난 2022년 6584억원을 기록했던 매출액이 지난해 4501억원으로 줄었고,
올해는 3천억 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때문에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D등급을 받아, 경영 개선 계획까지 제출해야하는 위기 상황입니다.
면세점 수익을 높이기 위해 면세점 근무자 복지 혜택도 축소하고 있습니다.
매년 나오던 추석 상품권이 올핸 지급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지난 23년간 새벽과 야간 근무자에게 지급됐던 7천원의 식비와 5천원의 교통비 포인트도 다음달부터 중단할 방침입니다.
천여 명의 면세점 직원들은 사전 설명도 없이 일방적인 통보를 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JDC 면세점 직원
"비상 경영이라고 안 주겠다고 한 거예요. 그냥 통보로. 식권이랑 교통비를 안 줄 것 같다는 식으로 막 소문이 돌더니 식권 지문 찍는 기계에 마감 때 그걸 붙여놨더라고요. 종이를."
JDC는 비상 경영 방침에 따라 판촉비용 명목으로 지급하던 걸 중단한 것이라며 입점 업체에 속한 직원들이라 사전 협의 대상도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강석창 기자
"JDC가 이같은 비상경영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공석인 이사장을 선임하는게 우선이지만, 새정부 들어 차기 이사장 공모 절차는 아예 중단된 상탭니다. JIBS 강석창입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JIBS 제주방송 강석창(ksc064@naver.com) 강명철(kangjsp@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5개로 제한된 면세점 판매 품목을 늘리고, 면세점 근무자에 대한 복지 혜택도 축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지 혜택 축소 대책에 불만의 목소리가 적잖게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비상경영체제를 벗어나기 위해선 현재 공석인 이사장 선임이 필요한데, 이사장 공모 절차는 현재 중단된 상탭니다.
강석창 기잡니다.
(리포트)
지역 소상공인들이 조세특례 제한법 개정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 법이 개정되면,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 JDC 면세점 판매 품목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JDC 면세점이 저가 공세로 소상공인 판매 품목들을 팔게 되면 지역 상권이 무너진다고 주장했습니다.
박인철 제주자치도 소상공인연합회장
"지역 상권을 초토화하고 제주 경제의 미래를 파괴할 이번 개정안의 추진을 결사 반대하며, 즉각적인 중지를 강력히 촉구한다"
현재 JDC면세점 판매 품목은 15개로 제한돼 있지만, 관세법 적용을 받도록 법이 개정되면 품목 제한이 없어집니다.
JDC는 법이 개정돼도 소상공인과 겹치는 생필품을 팔진 않을 것이고, 기능성 식품같은 선물용을 판매하는 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8백달러인 구매한도는 그대로 유지돼, 큰 영향이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처럼 JDC가 소상공인들의 반발 속에도 판매 품목을 늘리려는 건, 면세점 매출 급격히 줄었기 때문입니다.
지난 2022년 6584억원을 기록했던 매출액이 지난해 4501억원으로 줄었고,
올해는 3천억 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때문에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D등급을 받아, 경영 개선 계획까지 제출해야하는 위기 상황입니다.
면세점 수익을 높이기 위해 면세점 근무자 복지 혜택도 축소하고 있습니다.
매년 나오던 추석 상품권이 올핸 지급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지난 23년간 새벽과 야간 근무자에게 지급됐던 7천원의 식비와 5천원의 교통비 포인트도 다음달부터 중단할 방침입니다.
천여 명의 면세점 직원들은 사전 설명도 없이 일방적인 통보를 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JDC 면세점 직원
"비상 경영이라고 안 주겠다고 한 거예요. 그냥 통보로. 식권이랑 교통비를 안 줄 것 같다는 식으로 막 소문이 돌더니 식권 지문 찍는 기계에 마감 때 그걸 붙여놨더라고요. 종이를."
JDC는 비상 경영 방침에 따라 판촉비용 명목으로 지급하던 걸 중단한 것이라며 입점 업체에 속한 직원들이라 사전 협의 대상도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강석창 기자
"JDC가 이같은 비상경영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공석인 이사장을 선임하는게 우선이지만, 새정부 들어 차기 이사장 공모 절차는 아예 중단된 상탭니다. JIBS 강석창입니다."
영상취재 강명철
JIBS 제주방송 강석창(ksc064@naver.com) 강명철(kangjsp@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