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 계엄 당일 오영훈 지사의 이른바 '3시간 공백' 논란이 정치권 이슈로 번지기 시작했습니다.
범진보 정치인과 시민단체가 구고히에서 기자회견까지 열었습니다.
오영훈 지사의 해명과 함께 3시간 공백을 비판한 시민에 대한 고발 조치를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강석창기잡니다.
============
(리포트)
12.3 비상 계엄 당일 오영훈 지사의 행적과 제주도청 폐쇄 여부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가 계엄 선포 직후 3시간동안 오지사 행적에 대해 비판을 제기했던 고부건 변호사를 명예훼손으로 고발하면서 파장은 더 커젔습니다.
범진보 정치인과 시민단체가 강한 비판에 가세했습니다.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 극복을 위한 과정에 있는 만큼, 오영훈 지사의 분명한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습니다.
한창민 / 사회민주당 국회의원
"민주당의 단체장으로서 정확하게 국민들에게 답을 하고 잘못된 부분을 고쳐 나가는 것이 국민들을 위해서도 집원 여당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비상 계엄 당일 오지사의 이른반 3시간 공백에 대한 비판을 고발로 맞대응 한 것은 자충수가 될 거라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안진걸 / 민생경제연구소장
"그걸 비판하고 지적했다고 해서 제주도를 동원해 고발까지 한다니 그것은 참 누가 보기에도 범진도 중도 개혁 세력 입장에서는 아주 당혹스럽고 매우 고약한 일이 아닐 수 가 없습니다."
오지사를 향해 3시간 공백에 대해 해명하고, 고발 조치를 즉각 철회할 것도 요구했습니다.
이희성 / 변호사
"오영훈 지사와 제주도는 제주 시민의 정당한 의혹 제기에 대해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수단인 고발을 이용해 입틀막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엔 제주도민 299명의 이름으로 고발 조치 철회와 계엄 당일 행적을 해명하라는 입장문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제주자치도의 계염 당일 대응에 대한 논란이 이렇게 중앙정치권으로 번지고 있지만, 제주자치도는 명예훼손 고발 조치 이후 아직까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제주 정가에선 최근 논란이 이제 8개월 앞으로 다가온 내년 지방선거에 작은 변수가 될수도 있는 관측을 내놓고 있습니다.
JIBS 강석창입니다.
영상취재 고승한
JIBS 제주방송 강석창(ksc064@naver.com) 고승한(q890620@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범진보 정치인과 시민단체가 구고히에서 기자회견까지 열었습니다.
오영훈 지사의 해명과 함께 3시간 공백을 비판한 시민에 대한 고발 조치를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강석창기잡니다.
============
(리포트)
12.3 비상 계엄 당일 오영훈 지사의 행적과 제주도청 폐쇄 여부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가 계엄 선포 직후 3시간동안 오지사 행적에 대해 비판을 제기했던 고부건 변호사를 명예훼손으로 고발하면서 파장은 더 커젔습니다.
범진보 정치인과 시민단체가 강한 비판에 가세했습니다.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 극복을 위한 과정에 있는 만큼, 오영훈 지사의 분명한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습니다.
한창민 / 사회민주당 국회의원
"민주당의 단체장으로서 정확하게 국민들에게 답을 하고 잘못된 부분을 고쳐 나가는 것이 국민들을 위해서도 집원 여당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비상 계엄 당일 오지사의 이른반 3시간 공백에 대한 비판을 고발로 맞대응 한 것은 자충수가 될 거라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안진걸 / 민생경제연구소장
"그걸 비판하고 지적했다고 해서 제주도를 동원해 고발까지 한다니 그것은 참 누가 보기에도 범진도 중도 개혁 세력 입장에서는 아주 당혹스럽고 매우 고약한 일이 아닐 수 가 없습니다."
오지사를 향해 3시간 공백에 대해 해명하고, 고발 조치를 즉각 철회할 것도 요구했습니다.
이희성 / 변호사
"오영훈 지사와 제주도는 제주 시민의 정당한 의혹 제기에 대해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수단인 고발을 이용해 입틀막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엔 제주도민 299명의 이름으로 고발 조치 철회와 계엄 당일 행적을 해명하라는 입장문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제주자치도의 계염 당일 대응에 대한 논란이 이렇게 중앙정치권으로 번지고 있지만, 제주자치도는 명예훼손 고발 조치 이후 아직까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제주 정가에선 최근 논란이 이제 8개월 앞으로 다가온 내년 지방선거에 작은 변수가 될수도 있는 관측을 내놓고 있습니다.
JIBS 강석창입니다.
영상취재 고승한
JIBS 제주방송 강석창(ksc064@naver.com) 고승한(q890620@naver.com)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