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2막, 흔히들 은퇴 후의 삶을 얘기하는데요.
신흥2리에 위치한 동백마을에서는 은퇴자들이 마을에 머물며 함께 생활하는 체류형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관광이 아닌 '삶의 전환'을 실험하는 현장에 김지훈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서귀포 신흥2리 동백마을.
참가자들이 오리엔테이션을 마치고, 직접 동백 비누를 만드는 체험으로 일정을 시작합니다.
향긋한 오일 향이 퍼지자 긴장됐던 표정도 조금씩 풀립니다.
남은숙(51·인천)
"제주에 매일 가보고 싶었는데, 시간이 안 나서 못 왔다가, 이번에 좋은 프로그램이 있다고 해서 참여하게 됐어요."
짐을 풀고, 이제 마을길을 따라 걷습니다.
주민의 설명을 들으며 기름 원료가 될 동백 씨앗을 줍는 체험도 이어집니다.
2박 3일 동안 요리하고 산책하며 일상을 돌아보는 체류형 프로그램입니다.
숙소는 마을의 유휴건물을 리모델링해 만든 동백언우재. '동백나무 곁에서 보내는 그 시절의 집'이라는 뜻을 지녔습니다.
지난 7월 문을 연 뒤 석 달 만에 이용객이 1,000명을 넘었습니다.
단기 체류 모델이 지역에 자리 잡으며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주관광공사와 마을은 은퇴세대의 지역 체류를 확대하기 위해 별도의 은퇴 전환형 체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정책 흐름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오연진(58.인천)
"따뜻한 곳이고, 오면 항상 이국적인 느낌을 받아요, 그런 점도 매력있는 도시이고, 친구가 같이 정착할 수 있다면 제주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어서."
오동정 / 동백고장보전연구회 회장
"일주일 단위로 했다가 줄여서 (2박 3일로) 실시하고 있는데, 이분들이 경험해보고 돌아가면 옆사람, 또 옆사람, 어르신 그리고 자식들에게 얘기할 수 있으면 하는(바람이다)."
'동백언우재'는 행정안전부의 '고향올래' 사업을 통해 조성됐습니다.
마을과 행정이 함께 만든 '머무는 삶'의 거점입니다.
전국적으로 65살 이상 인구는 전체 20%를 넘어섰고, 제주는 읍.면 지역 대부분이 이미 초고령사회에 들어섰습니다.
마을의 일상이 곧 하나의 여행이 되는 곳.
은퇴 이후의 시간은 쉼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을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JIBS 김지훈입니다.
영상취재 박주혁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박주혁(dopedof@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흥2리에 위치한 동백마을에서는 은퇴자들이 마을에 머물며 함께 생활하는 체류형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관광이 아닌 '삶의 전환'을 실험하는 현장에 김지훈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서귀포 신흥2리 동백마을.
참가자들이 오리엔테이션을 마치고, 직접 동백 비누를 만드는 체험으로 일정을 시작합니다.
향긋한 오일 향이 퍼지자 긴장됐던 표정도 조금씩 풀립니다.
남은숙(51·인천)
"제주에 매일 가보고 싶었는데, 시간이 안 나서 못 왔다가, 이번에 좋은 프로그램이 있다고 해서 참여하게 됐어요."
짐을 풀고, 이제 마을길을 따라 걷습니다.
주민의 설명을 들으며 기름 원료가 될 동백 씨앗을 줍는 체험도 이어집니다.
2박 3일 동안 요리하고 산책하며 일상을 돌아보는 체류형 프로그램입니다.
숙소는 마을의 유휴건물을 리모델링해 만든 동백언우재. '동백나무 곁에서 보내는 그 시절의 집'이라는 뜻을 지녔습니다.
지난 7월 문을 연 뒤 석 달 만에 이용객이 1,000명을 넘었습니다.
단기 체류 모델이 지역에 자리 잡으며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주관광공사와 마을은 은퇴세대의 지역 체류를 확대하기 위해 별도의 은퇴 전환형 체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정책 흐름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오연진(58.인천)
"따뜻한 곳이고, 오면 항상 이국적인 느낌을 받아요, 그런 점도 매력있는 도시이고, 친구가 같이 정착할 수 있다면 제주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어서."
오동정 / 동백고장보전연구회 회장
"일주일 단위로 했다가 줄여서 (2박 3일로) 실시하고 있는데, 이분들이 경험해보고 돌아가면 옆사람, 또 옆사람, 어르신 그리고 자식들에게 얘기할 수 있으면 하는(바람이다)."
'동백언우재'는 행정안전부의 '고향올래' 사업을 통해 조성됐습니다.
마을과 행정이 함께 만든 '머무는 삶'의 거점입니다.
전국적으로 65살 이상 인구는 전체 20%를 넘어섰고, 제주는 읍.면 지역 대부분이 이미 초고령사회에 들어섰습니다.
마을의 일상이 곧 하나의 여행이 되는 곳.
은퇴 이후의 시간은 쉼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을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JIBS 김지훈입니다.
영상취재 박주혁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박주혁(dopedof@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