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4면이 바다인 제주에서 해양 쓰레기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수거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치워내도 다시 밀려드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린 돌고래가 낚싯줄에 온몸이 엉켜있습니다.
폐어구에 감긴 채 살아가던 남방큰돌고래 종달이의 처참한 마지막 모습입니다.
이처럼 쓰레기는 해양 생물들에게 죽음의 덫이 되고 있습니다.
해양 생물 뿐만 아닙니다.
항해하던 선박에서도 스크루에 해양 쓰레기가 걸려 표류하는 사고가 매년 잇따르고 있습니다.
서귀포시 대정읍의 한 해안가.
수백 미터 되는 해안가가 마치 쓰레기장을 방불케 합니다.
커다란 가스통이 나뒹굴고,
중국 등 해외에서 밀려든 플라스틱들도 잔뜩 쌓여 있습니다.
김동은 기자
"이곳 해안가 전 구간에 걸쳐 이처럼 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온갖 해양쓰레기들이 가득찬 상황입니다"
이런 해양 쓰레기 문제는 제주 전 연안에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270명이 넘는 바다 환경 지킴이들이 매일같이 쓰레기 수거 작업에 투입되고 있지만,
밀려드는 양이 상당한데다, 치워내기 무섭게 다시 쌓입니다.
정성홍 / 표선면 바다환경지킴이 반장
"페트병이나 우리가 보지 못했던 쓰레기들이 많이 올라옵니다. 이렇게 오늘 치워내도 내일 아침에 또 올라오고..."
상황이 이렇다보니 인근 야적장에는 한달 가량 모인 해양 쓰레기들이 커다란 자루마다 가득차 있습니다.
홍광석 / 표선면 바다환경지킴이
"특히 페트병이 굉장히 더 많아지고 있어요. 페트병은 바다가 세고 난 이후에 무조건 많이 올라와요"
(자료:제주자치도)
제주에서 수거된 해양 쓰레기는 지난 2023년 1만6백여 톤에서 지난해 1만7천여 톤으로 매년 늘고 있습니다.
올해도 벌써 1만톤이 넘게 수거된 상황입니다.
문제는 국내 발생 쓰레기와 더불어,
중국 등 인접 국가에서 밀려드는 쓰레기도 상당하다는 점입니다.
특히 해외 유입 쓰레기는 발생 원인부터 이동 동선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초 자료가 매우 중요하지만,
지난 2020년부터 3년간 이뤄진 국가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사업은 지난해부터 중단된 상황입니다.
홍선욱 /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대표
"예전에 못보던 중국 쓰레기가 제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다른 해역에서도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그것에 확고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정말 확실한 증거가 있어야 돼요"
제주에서 해양 쓰레기 수거에 투입되는 예산만 매년 1백억 원이 넘는 상황.
반복되는 해양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의 자구 노력 뿐만 아니라,
인접 국가와의 협력 체계 구축 등 깊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JIBS 제주방송 김동은(kdeun2000@hanmail.net) 윤인수(kyuros@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4면이 바다인 제주에서 해양 쓰레기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수거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치워내도 다시 밀려드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린 돌고래가 낚싯줄에 온몸이 엉켜있습니다.
폐어구에 감긴 채 살아가던 남방큰돌고래 종달이의 처참한 마지막 모습입니다.
이처럼 쓰레기는 해양 생물들에게 죽음의 덫이 되고 있습니다.
해양 생물 뿐만 아닙니다.
항해하던 선박에서도 스크루에 해양 쓰레기가 걸려 표류하는 사고가 매년 잇따르고 있습니다.
서귀포시 대정읍의 한 해안가.
수백 미터 되는 해안가가 마치 쓰레기장을 방불케 합니다.
커다란 가스통이 나뒹굴고,
중국 등 해외에서 밀려든 플라스틱들도 잔뜩 쌓여 있습니다.
김동은 기자
"이곳 해안가 전 구간에 걸쳐 이처럼 플라스틱 뿐만 아니라 온갖 해양쓰레기들이 가득찬 상황입니다"
이런 해양 쓰레기 문제는 제주 전 연안에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270명이 넘는 바다 환경 지킴이들이 매일같이 쓰레기 수거 작업에 투입되고 있지만,
밀려드는 양이 상당한데다, 치워내기 무섭게 다시 쌓입니다.
정성홍 / 표선면 바다환경지킴이 반장
"페트병이나 우리가 보지 못했던 쓰레기들이 많이 올라옵니다. 이렇게 오늘 치워내도 내일 아침에 또 올라오고..."
상황이 이렇다보니 인근 야적장에는 한달 가량 모인 해양 쓰레기들이 커다란 자루마다 가득차 있습니다.
홍광석 / 표선면 바다환경지킴이
"특히 페트병이 굉장히 더 많아지고 있어요. 페트병은 바다가 세고 난 이후에 무조건 많이 올라와요"
(자료:제주자치도)
제주에서 수거된 해양 쓰레기는 지난 2023년 1만6백여 톤에서 지난해 1만7천여 톤으로 매년 늘고 있습니다.
올해도 벌써 1만톤이 넘게 수거된 상황입니다.
문제는 국내 발생 쓰레기와 더불어,
중국 등 인접 국가에서 밀려드는 쓰레기도 상당하다는 점입니다.
특히 해외 유입 쓰레기는 발생 원인부터 이동 동선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초 자료가 매우 중요하지만,
지난 2020년부터 3년간 이뤄진 국가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사업은 지난해부터 중단된 상황입니다.
홍선욱 /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대표
"예전에 못보던 중국 쓰레기가 제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다른 해역에서도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그것에 확고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정말 확실한 증거가 있어야 돼요"
제주에서 해양 쓰레기 수거에 투입되는 예산만 매년 1백억 원이 넘는 상황.
반복되는 해양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의 자구 노력 뿐만 아니라,
인접 국가와의 협력 체계 구축 등 깊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JIBS 제주방송 김동은(kdeun2000@hanmail.net) 윤인수(kyuros@jibs.co.kr) 기자
<저작권자 © JIBS 제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